테라스 하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라스 하우스는 여러 채의 주택이 옆으로 연결되어 한 줄을 이루는 건축 양식이다. 16세기 유럽에서 시작되어 산업 혁명 이후 노동자 주택으로 대량 건설되었으며, 각 가구는 정원과 현관을 갖는 경우가 많다. 런던의 리젠츠 파크와 같이 고급 주택으로 지어지기도 했으며, 호주, 북미 등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한국에서는 1970년대 이후 아파트와 함께 주거 형태로 도입되었으며, 최근에는 임대 주택의 고부가가치화 추세에 따라 소규모 주택 건설에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테라스 하우스 | |
---|---|
개요 | |
![]() | |
유형 | 중밀도 주택 형태 |
설명 | 벽을 공유하는 연속된 주택 |
정의 및 특징 | |
일반적 특징 | 동일하거나 대칭적인 외관 공유 벽 (측벽) 연속적인 구조 |
기원 | 유럽, 특히 영국 |
다른 이름 | 로 하우스 (row house) 연립 주택 (linked house) |
건축 양식 | 종종 동일하거나 미러링된 디자인 |
디자인 특징 | 개별 입구 거리로 직접 연결 작은 앞마당 또는 뒤뜰 |
인접 주택과의 관계 | 각 주택은 옆집과 벽을 공유 |
일반적인 층수 | 2층 또는 3층 |
역사 및 분포 | |
기원 및 발전 | 17세기 유럽에서 시작 산업화 기간 동안 노동자 계층 주택으로 발전 |
주요 분포 지역 | 유럽 (특히 영국) 북미 호주 |
역사적 중요성 | 특정 시대의 건축 양식과 생활 방식을 반영 |
지역별 특징 | |
영국 | '테라스 하우스'라는 용어가 일반적 다양한 스타일과 크기 존재 |
북미 | '로 하우스'라는 용어 사용 도시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음 |
호주 | '테라스 하우스'라는 용어 사용 시드니와 멜버른에서 흔히 볼 수 있음 |
장단점 | |
장점 | 토지 효율성 비교적 저렴한 비용 도시 생활에 적합 |
단점 | 소음 문제 제한된 개인 공간 건축 디자인의 획일성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타운하우스 세미 디태치드 하우스 |
참고 자료 | 다양한 건축 및 부동산 관련 서적, 온라인 자료 |
일본 (テラスハウス) | |
정의 | 일본에서 "테라스 하우스"는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리얼리티 쇼 프랜차이즈를 지칭함 건축 용어로서의 테라스 하우스는 "연립 주택" 또는 "타운하우스"로 번역될 수 있음 |
프로그램 개요 | 6명의 남녀가 한 집에서 함께 생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리얼리티 쇼 다양한 시즌과 해외 로케이션 존재 |
주요 특징 | 출연자들의 관계 변화와 성장 과정 묘사 |
관련 정보 | 테라스 하우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문서 참고 |
2. 역사
테라스 하우스는 세계 각지에서 유사한 건축물을 찾아볼 수 있지만, 특히 16세기 이후 유럽에서 건설되기 시작하여 남미, 북미, 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 확산되었다. 산업 혁명 이후, 도시 노동자 계층을 위한 저렴한 주택으로 대량 건설되었다. 아파트와 달리 옆으로 연결되어 있어 보통 2층 또는 3층 건물이며 각 가구마다 정원과 현관이 있다. 1층이 상점인 경우 상가주택((en))이라고 불리며, 2채가 연결된 형태는 세미-데터치드 하우스((en))라고 불린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골드 러시 시대에 시드니와 멜버른의 인구가 급증하면서 벽돌로 지어진 테라스 하우스가 대량으로 공급되었다. 이 주택들은 도로 쪽에 작은 앞마당, 뒤쪽에 비교적 큰 뒷마당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도심에 가까운 "이너 시티" 지역에 위치해 있다.
런던 리젠츠 파크 외곽의 테라스 하우스는 고급 주택으로 알려져 있으며, 19세기 전반 존 내시 등 일류 건축가들이 설계했다.
일본에서는 1958년(쇼와 33년) 일본주택공단이 건설한 도쿄도스기나미구나리타히가시의 공단 아사가야 주택이 유명하다. 마에카와 구니오가 설계한 174호를 포함하여 총 232호의 2층 테라스 하우스가 있었으나, 노후화로 2013년(헤이세이 25년) 해체되었다. 다마 뉴타운에서는 1970년대 이후 오치아이 지구 등에 저층 테라스 하우스가 건설되었고, 드라마 『금요일의 아내들에게』에 등장하여 인기를 얻었으나, 개보수 비용 문제 등으로 고층 아파트에 밀려났다. 21세기에는 임대 주택의 고부가가치화 추세에 따라 소규모 테라스 하우스 건설이 늘고 있다.
2. 1. 기원과 명칭

빅커스 클로스, 웰스와 같은 초기 고딕 건축 양식의 사례가 알려져 있지만, 주택 정면이 경계선에 맞춰 정렬된 것은 16세기 이후 네덜란드 및 벨기에 양식을 따른 것이 시초이며, 영어로는 "row" 하우스라고 불리게 되었다. 예를 들어, 영국 노퍽주 그레이트 야머스의 "야머스 로우"에서는 건물의 정면이 모두 경계선에 맞춰져 있다.
"terrace"라는 용어는 정원 테라스에서 차용된 것으로, 영국의 조지 왕조 시대 후반의 건축가들이 균일한 정면과 높이로 단순한 "row" 형태의 주택이 아닌 세련된 앙상블을 이루는 거리의 주택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했다. 타운하우스(또는 타운홈)는 일반적으로 인접한 유닛과 벽을 공유하는 2~3층 구조이다. 아파트 건물과 달리 타운하우스는 위나 아래에 인접한 유닛이 없다. 타운하우스는 로우 하우스 또는 테라스 하우스와 개념이 비슷하지만, 공통된 디자인과 구조를 공유한다. 주택의 처음과 마지막에 위치한 주택을 "end terrace"라고 부르며, 가운데 위치한 주택인 mid-terrace와는 다른 레이아웃을 갖는 경우가 많다.
2. 2. 유럽의 발전
빅커스 클로스, 웰스와 같은 초기 고딕 건축 양식의 사례가 알려져 있지만, 주택 정면이 경계선에 맞춰 정렬된 것은 16세기 이후 네덜란드 및 벨기에 양식을 따른 것이 시초이며, 영어로는 "row" 하우스라고 불리게 되었다. 예를 들어, 영국 노퍽주 그레이트 야머스의 "야머스 로우"에서는 건물의 정면이 모두 경계선에 맞춰져 있다.[8]"terrace"라는 용어는 정원 테라스에서 차용된 것으로, 영국의 조지 왕조 시대 후반의 건축가들이 균일한 정면과 높이로 단순한 "row" 형태의 주택이 아닌 세련된 앙상블을 이루는 거리의 주택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했다. 타운하우스(또는 타운홈)는 일반적으로 인접한 유닛과 벽을 공유하는 2~3층 구조이다. 아파트 건물과 달리 타운하우스는 위나 아래에 인접한 유닛이 없다. 타운하우스는 로우 하우스 또는 테라스 하우스와 개념이 비슷하지만, 공통된 디자인과 구조를 공유한다. 주택의 처음과 마지막에 위치한 주택을 "end terrace"라고 부르며, 가운데 위치한 주택인 mid-terrace와는 다른 레이아웃을 갖는 경우가 많다.[9]


벨기에에서는 연립 주택이 전국 주택 유형의 주류를 이루며 벨기에 문화 및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수도 브뤼셀의 중심 유적지인 그랑플라스는 17세기에 지어진 개인 주택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는 당시 북유럽의 상업 강국으로서의 도시를 반영한다.[4] 19세기 벨기에는 영국과 마찬가지로 초기 산업 혁명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작은 벽돌 연립 주택인 "코롱"이라고 불리는 주택을 지어 석탄 광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중요한 노동자 계급 주택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건물은 왈롱 지역뿐만 아니라 프랑스의 노르파드칼레 지역에서도 매우 흔하다. 같은 기간(1850년부터 1900년대 초) 동안, 브뤼셀이나 앤트워프와 같은 주요 도시들은 도시의 확장을 위해 개인 소유의 구획을 중심으로 새로운 지역을 건설하는 등 중요한 도시 개발을 겪었으며, 이곳에는 중산층과 부르주아 계급 모두가 거주하는 단독 연립 주택이 건설되었다.[5] 빅토르 오르타가 설계한 아르 누보 양식의 호텔 타셀이나 호텔 반 에트벨데와 같은 일부 주택은 건축학적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6]


핀란드는 일반적으로 도시화가 늦게 일어난 농업 국가였기에, "리비탈로"(직역: 테라스 하우스)는 특별히 도시적인 주택 유형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최초의 테라스 하우스로 여겨지는 리빙스호프(1916)는 새로운 헬싱키 교외 쿨로사리에 위치해 있으며, 유명 건축가 아르마스 린드그렌이 설계했으며, 영국의 전원 도시 운동과 햄스테드 가든 교외의 아이디어에서 영감을 받아 비교적 저밀도 주거 지역으로 여겨졌다. 이와 유사하게 나무가 많은 교외의 테라스 하우스 거리로는 건축가 엘리엘 사아리넨이 설계한 헬싱키 뭉키니에미 교외의 홀란틸라이센티에(1920)가 있다. 이들은 처음에는 북서 헬싱키 전체에 대한 웅장한 새로운 도시 계획의 일부로 노동자 주택으로 구상되었지만, 처음부터 유행하는 중산층 주거 지역이 되었다. 핀란드의 이후 테라스 하우스는 1950년대부터 에스포의 정원 도시 타피올라와 같이 교외 중산층 생활과 유사하게 연관되어 있다.[7]
프랑스 파리에서는 테라스 하우스가 오랫동안 인기 있는 형태였다. 보쥬 광장(1605–1612)은 이 배치의 가장 초창기 사례 중 하나였다. 파리의 광장에서는 중앙 블록이 파사드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눈에 띄지 않게 배치되었다. 테라스 형태의 건물, 특히 주택은 또한 1852년에서 1870년 사이 오스만 남작의 파리 개조 기간 동안 주로 사용되어 테라스형 열로 구성된 거리 풍경 전체를 만들었다.
균일한 정면을 가진 최초의 주택가는 위그노 출신 기업가인 니콜라스 바본이 런던 대화재 이후 재건축하면서 지어졌다. 유행을 타는 테라스는 1727년부터 런던의 그로스베너 광장에, 1729년부터는 바스의 퀸 스퀘어에 나타났다. 스코틀랜드 건축가 로버트 애덤은 이 주택의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초기 테라스는 바스에서 두 명의 존 우드가 지었으며, 런던의 리젠트 파크에서는 존 내시의 지휘 아래 지어졌다. 이 용어는 토머스 커비트와 같은 투기적 건축업자들에 의해 사용되었고 곧 보편화되었다.

테라스 하우스가 경제적 여유가 제한적인 사람들을 위해서만 지어진 것은 아니다. 이는 런던에서 특히 그러했는데, 이 나라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 중 일부는 벨그레이브 광장과 칼턴 하우스 테라스와 같은 곳에 테라스 하우스를 소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타운하우스(영국식)는 1년 중 대부분을 컨트리 하우스에서 보내는 귀족과 젠트리 가문의 런던 거주지였다. 종종 정원 광장을 둘러싸고 있는 이러한 테라스 하우스는 조지언 건축의 특징이다. 이는 많은 영국과 아일랜드 도시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더블린에서는 메리온 광장과 피츠윌리엄 광장과 같은 조지언 광장에 도시의 상류층이 거주했다. 나중에 "지하실 위의 1층"으로 알려진 테라스 하우스의 한 유형은 아일랜드 수도 특유의 테라스 하우스 스타일이었다. 이들은 빅토리아 시대에 도시의 중산층을 위해 지어졌으며 상류층 타운하우스를 모방했다.[10]

빅토리아 시대 초기에, '테라스'는 개별 주택이 동일한 디자인으로 반복되어 행으로 연결된 모든 주택 스타일을 지칭하게 되었다. 이 스타일은 산업 혁명 이후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산업 지구의 노동자 주택에 사용되었으며, 특히 확장되는 섬유 산업의 노동자를 위해 지어진 주택에 사용되었다. 테라스 스타일은 전국으로 널리 퍼졌으며, 제2차 세계 대전까지 고밀도 주거용 주택의 일반적인 형태였다. 19세기에 표현적 개성에 대한 필요성은 표준화된 형식 내에서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해 정면 세부 사항과 평면도를 이웃한 각 쌍과 반대로 변형하는 영감을 주었다.[12]

주요 구분은 앞문과 뒷문을 모두 갖춘 주택인 '관통형 테라스'와 세 면이 벽돌로 막힌 백투백 하우스이다. 1875년 공중 보건법은 지방 당국에 지방 자치법을 사용하여 주택을 규제할 의무를 부과했으며, 그 결과 모든 지방 자치법 테라스 하우스는 변소를 갖추고 뒷문을 통해 야간 청소가 로치데일 시스템에 따라 수집될 수 있도록 해야 했다. 2011년까지 지방 자치법 테라스 하우스는 영국 주택 재고의 15% 이상을 차지했다.[1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주택 재개발로 인해 낡거나 쇠퇴한 많은 테라스가 고층 건물을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철거되었으며, 고층 건물은 훨씬 작은 면적의 토지를 차지한다. 이로 인해 도심 지역의 토지 사용은 이론적으로 접근성, 고용 또는 레크리에이션 또는 레저 센터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그러나 최적화되지 않거나 결함이 있는 시행으로 인해 많은 지역(예: 맨체스터 또는 런던의 주택 지구)에서 고층 건물은 이전에 테라스 하우스에 거주했던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개선을 제공하지 못했다.[12]

2005년 잉글리시 헤리티지의 보고서 "저수요 주택과 역사적 환경"에 따르면 표준 빅토리아 시대 테라스 하우스를 30년 동안 수리하는 비용은 새로 지은 주택을 짓고 유지하는 것보다 약 60% 저렴하다. 2003년 ''유산 가치''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 전문가 팀은 빅토리아 시대의 테라스와 1980년 이후에 지어진 주택을 대조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이 연구는 이전의 생각과는 달리 오래된 주택이 실제로 주택의 장기적인 수명 동안 유지하고 점유하는 데 비용이 덜 든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사용된 재료의 품질과 수명으로 인해 빅토리아 시대의 테라스 하우스는 평균적으로 매년 100m2당 거의 1000GBP 저렴하게 유지하고 거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3. 오세아니아


호주에서 "테라스 하우스"라는 용어는 거의 독점적으로 빅토리아 시대와 에드워드 시대의 테라스나 주요 도시의 오래된 도심 지역에서 발견되는 복제품을 지칭한다.[2] 테라스 하우징은 19세기에 영국에서 호주로 도입되었으며, 건축은 영국, 프랑스 및 이탈리아의 건축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시드니와 멜버른을 비롯한 호주 대도시의 도심 교외 지역에 많은 수의 테라스 하우스가 건설되었으며, 주로 1850년대부터 1890년대 사이에 건설되었다(이 도시들 외에서는 드물다). 1901년 연방 이후 단독 주택이 호주에서 인기 있는 주택 스타일이 되었다. 가장 흔하게 사용된 건축 자재는 벽돌이었으며, 종종 시멘트 몰탈로 덮여 페인트칠되었다.
많은 테라스는 캐스트 아이언 장식, 특히 발코니에 대량 사용되어 호주 고유의 식물을 묘사하는 "필리그리" 스타일로 지어졌다. 1950년대에는 많은 도시 재개발 프로그램이 현대식 개발을 선호하여 테라스 하우스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이러한 도심 지역과 그 테라스 하우스는 젠트리피케이션되었다. 테라스 하우스가 종종 발견되는 교외 지역은 주요 도시의 중앙 업무 지구와의 근접성 때문에 호주에서 종종 인기가 있다. 따라서 선호하는 숙박 스타일이 아닐 수 있지만, 때로는 상당히 비싸다. 측면에 창문이 없고, 작은 정원이 있으며, 방이 상대적으로 어둡다는 점은 현대 호주 주택에 선호되는 디자인과 상반된다.[3]
오스트레일리아의 골드 러시 시대에는 시드니와 멜버른의 인구가 급증했기 때문에 벽돌로 지어진 테라스 하우스가 대량으로 공급되었다. 일반적으로 도로 쪽에는 작은 앞마당(프론트 야드), 뒤쪽에는 비교적 큰 뒷마당(백 야드)이 있다. 현재 이들은 비교적 도심에 가까운 "이너 시티"라고 불리는 지역에 위치해 있다.
2. 4. 북아메리카

할리팩스는 역사 전반에 걸쳐 줄지어 지은 주택, 타운하우스, 테라스 하우징을 일관되게 사용해 왔으며, 특히 도시가 처음 정착한 반도에서 두드러진다. 도시의 오래된 구역에는 역사적으로 군인 가족, 기존 가족의 부동산 보유의 일부, 그리고 도시의 노동 계층과 공공 주택을 위한 주거 시설로 사용된 테라스 하우징 구역이 있다. 가장 잘 알려진 테라스 하우징 지역은 하이드로스톤으로, 원래 할리팩스 폭발 이후 집을 잃은 사람들을 위한 대체 주택 재고로 건설되었다. 그러나 개별 소유자들은 변화하는 가족의 필요에 맞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많은 연립 주택의 외관을 변경했다. 최근에는 도시 전역의 다양한 지역에 연립 주택 개발이 나타나고 있다.
몬트리올은 캐나다에서 가장 많은 테라스 하우스를 보유하고 있으며[13], 도시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다른 북미 도시에서 흔히 그렇듯, 몬트리올의 테라스 하우스는 종종 타운하우스라고 불린다.
플라토, 상트르-쉬드, 오슐라가와 같은 19세기 도시 구역의 거리 풍경은 테라스 하우스, 2층 주택, 트리플렉스가 주를 이룬다. 테라스 하우스는 20세기에도 계속 건설되었다. 빌르레, 파크 엑스텐션, 빌-에마르와 같은 많은 구역에서 전후 시대에 주택의 주요 형태가 되었다.
21세기에도 몬트리올은 높은 비율로 테라스 하우스를 계속 건설해 왔으며, 수도권 주택 건설의 62%가 아파트 또는 테라스 형태이다.[13] 아파트 단지, 고층 건물, 세미 디태치드 주택은 토론토나 밴쿠버와 같은 대도시와 비교했을 때 몬트리올에서 인기가 덜하지만, 특히 필라델피아와 같은 일부 미국 도시와 유사하다. 몬트리올의 특징적인 테라스 하우스와 상징적인 골목길, 발코니, 야외 계단은 도시의 문화적 상징이 되었으며, 데이비드 페나리오의 발콩빌과 모데카이 리클러의 더 어프렌티스십 오브 더 더디 크라비츠에 등장한다.
구 토론토에는 테라스 하우스가 풍부하다. 이들 중 상당수는 1870년대에 유행했던 지역 베이 앤드 게이블 양식으로 지어졌다. 빅토리아 시대의 베이 앤드 게이블 양식의 예는 토론토의 캐비지타운,[14] 파크데일,[15] 디 애넥스,[16] 켄싱턴 마켓,[17] 차이나타운 동쪽 지역과 스파다나 애비뉴를 따라 볼드윈 빌리지를 포함한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토론토에서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조지아 양식의 테라스 하우스인 월넛 홀은 구조적 부패로 인해 2007년에 철거되었다.[19]

미국 인구 조사국에 따르면,[20] 미국의 테라스 하우스는 중부 대서양 지역, 특히 필라델피아, 볼티모어, 워싱턴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미국 최초의 테라스 하우스는 개발업자 윌리엄 샌섬을 위해 건축가 토마스 카스테어스[21]가 설계하고, 1799년경부터 1820년까지 건설된 필라델피아의 Carstairs Row로, 미국 최초의 투기적 주택 개발의 일환이었다.[22] Carstairs Row는 랑팡이 설계한 로버트 모리스의 미완성 저택 "모리스의 폴리"가 있던 부지의 남쪽에 건설되었다.[23] 이전에는 주택이 줄지어 건설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건설되었다. 이는 미국의 가장 오래된 연속 점유 도로인 엘프레스 앨리와 대조되는데, 이곳의 모든 주택은 높이와 너비가 다르고, 거리 선, 출입구 및 벽돌공사가 다르다.
미국에서 테라스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타운하우스''라고 불린다. 뉴욕, 필라델피아, 볼티모어,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와 같이 1세기 이상 존재해 온 도시에서는 흔히 로 하우스 또는 로 홈이라고 불린다. 좁은 부지에도 불구하고 많은 로 하우스는 비교적 크며, 일부는 약 185.81m2를 넘는다. 일반적으로 2층 구조이지만 3층 이상일 수도 있으며, 후자의 경우 별도의 세입자를 위한 아파트로 개조되는 경우가 많다. 북동부 및 중부 대서양 지역에서 "타운하우스"라는 용어는 대개 20세기 후반 이후에 건설된 현대 테라스 하우스를 지칭하며, 특히 주택 소유자 협회가 있고 차고가 포함된 교외 환경에서 많이 사용된다. 2개 또는 3개씩 묶인 다층 연결 주택은 각각 듀플렉스 및 트리플렉스라고 일반적으로 불린다.

볼티모어 주택의 대부분은 연립 주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볼티모어의 일부 연립 주택은 식민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건축에 사용된 스타일과 재료는 도시 전체에서 다양하다. 볼티모어 연립 주택의 상당수는 볼티모어 연립 주택의 독특한 특징인 폼스톤으로 덮여 있으며, 일반적으로 도시의 노동자 계층 지역에서 발견된다. 대리석 현관 계단 또한 볼티모어의 연립 주택을 다른 도시의 연립 주택과 구별되게 만든다. 필라델피아와 마찬가지로 연립 주택이 있는 도시의 일부 지역은 관리가 소홀하다.
보스턴의 연립 주택은 주로 백 베이, 비컨힐, 사우스 엔드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백 베이는 빅토리아 시대의 벽돌 타운하우스가 줄지어 있어, 미국에서 19세기 도시 디자인의 가장 잘 보존된 예시 중 하나로 여겨진다. 비컨힐은 연방 양식의 연립 주택으로 이루어진 보스턴의 한 지역이다. 사우스 엔드는 19세기 중반에 지어진 보우프론트 양식의 건물들이 주를 이루며, 미적으로 통일된 5층 높이의 붉은 벽돌 구조로, 주거 및 상업용으로 혼합되어 사용된다.
시카고에서는 180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까지 개발된 시내 및 주변 지역에서 연립 주택을 찾아볼 수 있다. 많은 건물들이 2층 또는 3층 건물(3층 건물에 아파트 1~2개로 구성됨)이다. 시카고의 그레이스톤은 뉴욕과 보스턴에서 찾아볼 수 있는 브라운스톤과 유사하지만, 외관이 인디애나 석회암으로 덮여 있다. 대부분의 연립 주택은 주택 사이의 공용 벽 아래로 이어지는 통로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 통로는 건물 뒤쪽(뒷집이나 코치 하우스가 있는 경우도 있음)과 골목길로 이어진다. 대다수의 2층 및 3층 건물은 공용 벽을 공유하지 않고 독립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필라델피아, 볼티모어, 워싱턴 D.C.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연립 주택도 존재하며, 주로 남서부와 서부에 있지만 흔하지는 않다.

고든 로우는 조지아주 서배너에 위치해 있으며, 1850년대에 건설되었다.[24] 이 건물(그리고 뒷편의 개별 마차 창고)은 국립 사적지에 등재된 서배너 역사 지구의 구성 자산이며,[24] 도시 블록 전체를 차지한다. 쇠퇴기에 접어든 후, 이 건물들은 역사 서배너 재단에 의해 20세기 중반에 재건되었다.[25] 서배너에는 이와 유사한 스타일의 연립 주택으로 스커더 로우, 윌리엄 렘샤르트 로우 하우스, 테일러 스트리트의 퀀톡 로우(Taylor Street)와 존스 스트리트의 퀀톡 로우(Jones Street), 맥도너 로우, 그리고 마셜 로우가 있다.[26]
뉴올리언스는 프렌치 쿼터에 위치한 독특한 스타일의 테라스 하우스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이 도시를 유명하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인 크리올 타운하우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건물 정면은 부지 경계선에 위치하며 아치형 개구부가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크리올 타운하우스는 경사가 급한 지붕과 측면 박공 지붕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개의 지붕 창문이 있다. 외관은 벽돌 또는 회반죽으로 만들어진다.

뉴욕 시의 연립 주택은 브라운스톤, 석회암, 벽돌 등 다양한 재료로 지어졌으며, 일부는 목조 주택입니다. 연립 주택은 퀸스의 미들 빌리지, 우드헤이븐 및 잭슨 하이츠; 브루클린의 베이 리지, 벤슨허스트, 브루클린 하이츠, 부시윅, 카나시, 마린 파크, 파크 슬로프, 선셋 파크; 그리고 브롱스의 윌리엄스브리지, 웨이크필드 및 사운드뷰 와 같은 지역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역사적인 필라델피아에서, 연립 주택(rowhouse, 거의 항상 한 단어로 표기)은 식민지 시대부터 이 도시와 일부 델라웨어 계곡 교외 지역에서 가장 흔한 주거 건물 유형이었다.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연립 주택 중 일부는 좁은 3층짜리 "트리니티" 하우스로, 19세기에 자유 흑인 거주지 외에도 많은 수의 계약 하인과 이민 노동자를 수용했다.[27] 소사이어티 힐은 미국에서 18세기와 19세기 초의 주거 건축물이 가장 많이 밀집된 곳으로 알려져 있다. 필라델피아 연립 주택을 건설하는 데 사용된 스타일과 재료의 종류는 도시 전체에서 다양하다. 쌍둥이 주택이 발견되는 지역에서도 외관과 내부 레이아웃은 일반적으로 연립 주택과 유사하다.
대부분은 주로 붉은 벽돌로 지어졌으며, 종종 흰색 석재 장식이 있다. 일부는 석재로 마감되었으며, 센터 시티, 필라델피아 남부, 필라델피아 북부의 일부 블록에서는 브라운스톤을 사용하고, 필라델피아 북동부의 메이페어와 필라델피아 북서부의 마운트 에어리에서는 위사히컨 편암을 사용한다. 필라델피아 서부에는 이탈리아 건축 및 퀸 앤 스타일 건축 양식의 다채로운 연립 주택이 많이 있다. 연립 주택은 매우 흔하기 때문에 필라델피아 시 도시 계획 위원회(PCPC)는 연립 주택 소유주를 위한 특정 가이드를 발행하여 재산을 유지하는 몇 가지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28]
도시 경계 내의 공간이 부족해짐에 따라 최근에는 기존 연립 주택에 3층을 추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며, 종종 이 3층에는 옥상 데크가 포함된다. 3층을 주택에 추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역 규정이 존재하지만, Philly Mag는 "주택의 높이 제한을 약 10.67m에서 약 11.58m로 늘린 도시의 2012년 구역 규정 개정을 통해 이 옵션이 점점 더 보편화되었다"고 주장한다.[29]
샌프란시스코는 특히 오래된 동네인 노스 비치, 카스트로, 헤이트-애쉬버리, 러시안 힐, 미션 디스트릭트, 두보스 트라이앵글 그리고 웨스턴 애디션에 있는 테라스 하우스로도 유명하다. 웨스턴 애디션의 알라모 스퀘어 지구에 있는 스테이너 스트리트의 "페인티드 레이디스"는 엄밀히 말하면 "테라스"는 아니지만, 도시의 상징이다. 도시 주변의 다른 화려하고 정교하게 세부 묘사된 빅토리아 양식 주택들은 "페인티드 레이디스"로 불리며 테라스형이고, 또 어떤 것들은 반독립형이다.

워싱턴 D.C.의 여러 지역은 테라스 하우스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종종 지역 주택의 대다수 또는 다수를 구성한다. 다른 미국 도시와 마찬가지로 D.C.의 테라스 하우스는 다양한 건축 양식과 건축 자재를 포괄한다. 테라스 하우스가 밀집된 것으로 알려진 지역으로는 캐피톨 힐, 듀퐁 서클, 로건 서클, 쇼, 르드로이트 파크, 컬럼비아 하이츠, 페트워스, 블루밍데일 등이 있다. 테라스 하우스가 있는 많은 지역은 록 크릭 공원 동쪽의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인 도시의 노스웨스트 구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미국 국회의사당 바로 동쪽에 있는 노스이스트 및 사우스이스트 구역을 차지하는 캐피톨 힐과 그 하위 지역을 제외한다. 많은 D.C. 테라스 하우스는 1800년대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적인 구조물이기 때문에 1791년 랑팡 플랜에 따라 배치된 도시의 원래 경계 내에서 특히 흔하다. 워싱턴 D.C. 외곽에서는 지난 50년 동안 특히 메트로 역과 기타 관심 지역 주변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타운하우스가 건설되었다.[30]

미국 내 다른 도시들, 예를 들어 뉴욕주 올버니, 신시내티, 클리블랜드, 켄터키주 코빙턴, 디트로이트, 뉴저지주 호보켄, 저지시티,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 버지니아주 노퍽, 피츠버그, 펜실베이니아주 리딩, 버지니아주 리치먼드, 뉴욕주 트로이, 델라웨어주 윌밍턴 등지에서도 테라스 하우스와 연립 주택을 흔히 볼 수 있으며, 연립 주택은 도시 중심부에 집중되어 있고, 이후 외곽 지역에서 밀집된 단독 주택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흩어져 있는 연립 주택과 아파트 단지는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와 세인트폴을 비롯한 미국의 다른 동부 및 중서부 도시에서도 종종 발견된다. 세인트폴에 있는 F. 스콧 피츠제럴드 하우스는 미니애폴리스-세인트폴 지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연립 주택의 예시일 것이다.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는 흩어져 있는 연립 주택이 있으며, 아이오와주 듀뷰크, 미네소타주 덜루스, 오하이오주 톨레도와 같은 작은 중서부 도시에도 존재한다. 콜로라도주 덴버의 가장 오래된 지역에도 흩어져 있는 연립 주택과 아파트 단지가 있다.
2. 5. 남아메리카

19세기 말 몬테비데오와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는 '표준 주택' 또는 비공식적으로 '''초리소 주택'''이라고 불리는 형태의 테라스 하우스가 발전했다.
2. 6. 동남아시아

20세기 초, 테라스 하우스(일명 상가주택 또는 선형 연결주택)는 초기 영국의 식민 통치 시대부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 채택되었다.[1]
영국식 테라스 하우스 설계를 기반으로 한 동남아시아의 변형은 영국식과 유사하다. 거실은 앞쪽과 위층에, 주방은 뒤쪽에 위치하며, 일년 내내 기온이 높고 강우량이 많은 이 지역의 열대 기후에 맞게 개조되었다.[1] 초기 버전은 더 개방적이었으며, 공기 순환을 개선하도록 설계되었고, 앞마당, 뒷마당 또는 둘 다 있는 안뜰이 특징이었다.[1] 일반적인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의 테라스 하우스는 보통 1~2층 높이지만, 특히 새로운 테라스 하우스의 경우 3~4층 높이도 소수 존재한다.[1] 초기 변형은 1930년대에서 1950년대 사이에 전통적인 서양, 말레이, 인도 및 중국 건축 양식뿐만 아니라 아르 데코와 국제 양식을 따랐다.[1]
건물의 설계 방식은 도시 지역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1] 도심에 위치한 파생 건물은 1층은 상업용, 1층 이상은 주거용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도 있다.[1] (정확히는 상가주택이라고 하며, 링난 건축물과도 유사하다.)[1] 도심 테라스 하우스 디자인은 앞마당이 전혀 없는 경향이 있으며, 도로 전면이 좁아 건물의 구조가 도로 바로 앞에 세워졌다.[1] 이러한 현상의 한 가지 이유는 총 면적보다 도로 전면에 따라 세금이 부과되어 좁고 깊게 짓는 경제적 동기가 부여되었기 때문이다.[1] 5피트 길 현관은 일반적으로 거주자와 보행자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1층에 설치되었다.[1] 또는 현관을 보도에서 분리하여 개인 공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1] 이러한 설계는 1960년대 이후 덜 일반화되었다.[1]
도심 외곽에 위치한 테라스 하우스는 덜 제한적이었지만, 건물 자체의 설계는 도시의 건물과 다르지 않았다.[1] 일부 주택은 자동차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 더 긴 앞마당이 있는 경향이 있다.[1] 다른 주택은 작은 정원 역할만을 한다.[1] 이러한 설계는 20세기 내내 수요가 유지되었으며, 1940년대부터 말레이시아에서 이러한 주택 설계의 건설 붐이 일어났고, 도시와 마을 안팎에 테라스 하우스로 구성된 수많은 주택 단지가 생겨났다.[1] 그 과정에서 건물의 설계는 다양해지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개선과 스타일 변화가 이루어졌다.[1] 일반적으로 건물의 바닥 면적과 마당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커지고 정교해지며, 외부 구조와 외관도 현대화되었다.[1]
일부 오래된 테라스 하우스는 다양한 새로운 역할로 전환되는 경향이 있다.[1] 일부는 상가주택이나 사업장(클럽, 호텔 및 하숙집, 특히 독립 이전 주택 및 유치원 포함)으로 개조된다.[1] 다른 주택은 주거 단위로 사용되거나, 방치되거나, 버려지거나, 철거되었다.[1] 모든 테라스 하우스에서 상당한 확장이 일반적이며, 주택 부지의 바닥 면적 내에 지붕과 추가 방이 추가될 수 있다.[1] 버려진 테라스 하우스의 제한적인 유지 관리 및 모니터링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잠재적으로 설치류와 뱀의 은신처(풀이 우거진 마당)와 마약 중독자의 은신처가 될 수 있다.[1]
테라스 하우스의 초기 변형은 나무로 지어졌으며, 나중에는 석조 껍질로 대체되어 나무 들보가 상층과 기와 지붕의 기초를 형성했다.[1] 현대 변형은 주로 철근 콘크리트 들보로 함께 고정되며, 나중에 콘크리트 슬래브, 벽돌 벽 및 기와 지붕으로 완성된다.[1]
2. 7. 일본
1958년(쇼와 33년) 일본주택공단이 건설한 분양 주택으로 도쿄도스기나미구나리타히가시에 있는 공단 아사가야 주택이 유명하다. 총 350호 중 지상 2층 테라스 하우스가 232호였다. 이 중 174호의 설계를 마에카와 구니오가 맡았으나, 노후화로 인해 2013년(헤이세이 25년)에 해체되었다.그 후에도 다마 뉴타운에서는 1970년대 이후 주택의 "양에서 질로" 전환이 요구됨에 따라 저층 테라스 하우스가 오치아이 지구 등에 건설되었다. 당시 사회 현상을 일으킨 드라마 『금요일의 아내들에게』에 주인공들의 주거지로 등장하여, 그 전까지 그다지 친숙하지 않았던 주택 스타일이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집끼리 연결되어 있어 개수 등의 비용이 많이 들고, 세대 수가 적어 수선비도 고액인 등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아, 고층 아파트의 보급에 따라 이후 개발된 뉴타운에서는 건설되지 않게 되었다.
21세기에 들어 인구 동태적으로 주택은 공급 과잉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고, 임대 주택의 고부가가치화 추세에 따라, 종래에는 아파트로 건설되던 소규모 물건들이 테라스 하우스 형식으로 건설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3. 한국의 테라스 하우스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한국의 테라스 하우스'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 답변은 변경할 내용이 없습니다.)
3. 1. 초기 도입과 발전
일본에서는 1958년(쇼와 33년)에 일본주택공단이 건설한 분양 주택으로 도쿄도스기나미구나리타히가시에 있는 공단 아사가야 주택이 유명하다. 총 350호 중 지상 2층 테라스 하우스가 232호가 있었으며, 이 중 174호의 설계를 마에카와 구니오가 맡았다. 그러나 노후화로 인해 2013년(헤이세이 25년)에 해체되었다.[1]그 후에도 다마 뉴타운에서는 1970년대 이후 주택의 "양에서 질로"의 전환이 요구됨에 따라 오치아이 지구 등에 저층 테라스 하우스가 건설되었다.[1] 당시 사회 현상을 일으킨 드라마 『금요일의 아내들에게』에 주인공들의 주거지로 등장하여, 그 전까지 그다지 친숙하지 않았던 주택 스타일이 큰 인기를 얻었다.[1] 그러나 집끼리 연결되어 있어 개수 등의 비용이 많이 들고, 세대 수가 적어 수선비도 비싸지는 등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았다. 이에 따라 고층 아파트의 보급에 따라 이후 개발된 뉴타운에서는 건설되지 않게 되었다.[1]
한편, 개인 주택의 임대 물건 등으로 쓰이는 소규모 건에 있어서는, 21세기에 들어 인구 동태적으로 주택은 공급 과잉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임대 주택의 고부가가치화 추세를 받아, 종래라면 아파트로 하는 경우가 많았던 소규모 물건을 테라스 하우스 형식으로 하는 것이 늘고 있다.[1]
3. 2. 현대의 테라스 하우스
1958년(쇼와 33년)에 일본주택공단이 건설한 분양 주택으로 도쿄도스기나미구나리타히가시에 있는 공단 아사가야 주택이 유명하다. 총 350호 중 지상 2층 테라스 하우스가 232호였으며 이 중 174호의 설계를 마에카와 구니오가 맡았지만, 노후화로 인해 2013년(헤이세이 25년)에 해체되었다.[1]그 후 다마 뉴타운에서는 1970년대 이후 주택의 "양에서 질로"의 전환이 요구됨에 따라 저층 테라스 하우스가 오치아이 지구 등에 건설되었다.[1] 당시 사회 현상을 일으킨 드라마 『금요일의 아내들에게』에 주인공들의 주거지로 등장하여, 그 전까지 그다지 친숙하지 않았던 주택 스타일이 큰 인기를 얻었다.[1] 그러나 집끼리 연결되어 있어 개보수 비용이 많이 들고, 세대 수가 적어 수선비도 비싸지는 등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아, 고층 아파트의 보급에 따라 이후 개발된 뉴타운에서는 건설되지 않게 되었다.[1]
한편, 개인 주택의 임대 물건으로의 전용과 같은 소규모 건에 있어서는, 21세기에 들어 인구 동태적으로 주택은 공급 과잉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고, 임대 주택의 고부가가치화 추세를 받아, 종래라면 아파트로 건설했을 소규모 물건을 테라스 하우스 형식으로 하는 것이 늘고 있다.[1]
4. 특징
테라스 하우스는 유럽에서 시작되어 남미, 북미, 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 확산된 건축 양식이다. 산업 혁명 이후 도시 노동자들을 위한 저렴한 주택으로 대량 건설되었다. 아파트와 달리, 2층 또는 3층 건물들이 옆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가구마다 정원과 현관을 갖추고 있다. 1층이 상점인 경우는 샵하우스(en)라고 불린다. 2채가 연결된 형태는 세미데터치드 하우스(en), 1채로 독립된 형태는 데터치드 하우스라고 불린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골드 러시 시대에는 시드니와 멜버른의 인구 급증으로 벽돌로 지어진 테라스 하우스가 대량 공급되었다. 이 주택들은 보통 도로 쪽에 작은 앞마당, 뒤쪽에 비교적 큰 뒷마당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도심에 가까운 "이너 시티" 지역에 위치해 있다.
런던의 리젠츠 파크 외곽에 있는 테라스 하우스는 고급 주택으로 알려져 있다. 19세기 전반에 존 내시 등 일류 건축가들이 설계했다.
4. 1. 장점
1958년(쇼와 33년) 일본주택공단이 도쿄도스기나미구나리타히가시에 건설한 분양 주택인 아사가야 주택은 총 350호 중 232호가 지상 2층 테라스 하우스였으며, 이 중 174호는 마에카와 구니오가 설계했다. 그러나 노후화로 인해 2013년(헤이세이 25년)에 해체되었다.1970년대 다마 뉴타운에서는 주택의 질적 전환이 요구됨에 따라 오치아이 지구 등에 저층 테라스 하우스가 건설되었다. 드라마 『금요일의 아내들에게』에서 주인공들의 주거지로 등장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나, 개수 및 수선 비용 문제로 인해 고층 아파트에 밀려 이후 뉴타운에서는 건설되지 않았다.
21세기 들어 주택 공급 과잉과 임대 주택 고부가가치화 추세에 따라, 소규모 물건을 테라스 하우스 형식으로 짓는 경우가 늘고 있다.
4. 2. 단점
테라스 하우스는 집끼리 연결되어 있어 개수 등의 비용이 많이 들고, 세대 수가 적어 수선비도 비싸지는 등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고층 아파트가 보급되면서, 이후 개발된 뉴타운에서는 테라스 하우스가 건설되지 않게 되었다.일본에서는 1958년(쇼와 33년) 일본주택공단이 도쿄도스기나미구나리타히가시에 건설한 분양 주택인 아사가야 주택이 테라스 하우스로 유명했지만, 노후화로 2013년(헤이세이 25년) 해체되었다. 이후 다마 뉴타운에서는 1970년대 이후 주택의 "양에서 질로" 전환이 요구됨에 따라 오치아이 지구 등에 저층 테라스 하우스가 건설되었다. 드라마 『금요일의 아내들에게』에서 주인공들의 주거지로 등장하여 큰 인기를 얻기도 했다.
5. 건축 양식
테라스 하우스는 16세기 이후 유럽에서 건설되기 시작하여 남미, 북미, 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 확산되었다. 산업 혁명 이후, 도시 노동자 계층을 위한 저렴한 주택으로 대량 건설되었다. 아파트처럼 상층에 주거 공간이 쌓이는 형태가 아니라, 옆으로 연결되어 있어 보통 2층 또는 3층 건물이며 각 가구마다 정원과 현관이 있다. 1층이 상점인 경우, 샵하우스(en)라고 불린다. 또한 2채가 연결된 형태는 세미-데터치드 하우스(en), 1채로 독립된 형태는 데터치드 하우스라고 불린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골드 러시 시대에는 시드니와 멜버른의 인구가 급증했기 때문에 벽돌로 지어진 테라스 하우스가 대량으로 공급되었다. 일반적으로 도로 쪽에는 작은 앞마당(프론트 야드), 뒤쪽에는 비교적 큰 뒷마당(백 야드)이 있다. 현재 이들은 비교적 도심에 가까운 "이너 시티"라고 불리는 지역에 위치해 있다.
런던의 리젠츠 파크 외곽에 늘어선 테라스 하우스는 고급 사양으로 알려져 있다. 19세기 전반에 건설되었으며, 설계는 존 내시를 비롯한 당시 일류 건축가들이 담당했다.
참조
[1]
서적
The Gentrification of inner Melbourne - a political geography of inner city housing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2]
서적
"A Pictorial Guide to Identifying Australian Architecture: Styles and Terms from 1788 to the Present"
Angus & Robertson
[3]
서적
Australian House Styles
Flannel Flower Press
[4]
웹사이트
La Grand-Place, Brussels
https://whc.unesco.o[...]
2024-04-20
[5]
웹사이트
Le quartier Nord-Est, Les squares et leurs abords - Histoire de l’architecture
https://monument.her[...]
2024-04-19
[6]
웹사이트
Major Town Houses of the Architect Victor Horta (Brussels)
https://whc.unesco.o[...]
2024-04-20
[7]
서적
Suomalainen rivitalo. Työväen asunnosta keskiluokan unelmaksi (The Finnish terraced house. From worker housing to middle-class dream)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8]
문서
Summerson 1947
[9]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Art
https://archive.org/[...]
Octopus Books
[10]
뉴스
How Dublin's Modest Terraced Houses Came Back Into Fashion
https://www.bloomber[...]
2022-07-31
[11]
간행물
Race, Space and Place: Lessons From Sheffield
https://www.academia[...]
2015-10-06
[12]
서적
The Politics of Mass Housing in Britain in 1945–75
Clarendon Press
[1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1-03-18
[14]
웹사이트
Bay & Gable Victorian Architecture in Toronto
https://urbaneer.com[...]
[15]
웹사이트
Nostalgia Tripping: Toronto's bay-and-gable architecture
https://www.blogto.c[...]
[16]
웹사이트
Nostalgia Tripping: Toronto's bay-and-gable architecture
https://www.blogto.c[...]
[17]
웹사이트
Toronto' disappearing Bay and Gable houses
https://tayloronhist[...]
2016-06-22
[18]
웹사이트
ACO Toronto - 56-58 Phoebe Street
https://www.acotoron[...]
[19]
뉴스
Building in ruins, neighbours in shock
https://www.thestar.[...]
2021-09-06
[20]
웹사이트
2021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for All States and Puerto Rico, United States Census Bureau
https://data.census.[...]
census.gov
2022-11-04
[21]
웹사이트
Carstairs, Thomas (1759?-1830) - Philadelphia Architects and Buildings
http://www.philadelp[...]
Philadelphiabuildings.org
2018-08-01
[22]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s://web.archive.[...]
2007-04-25
[23]
웹사이트
National Park Service - Signers of the Declaration (Robert Morris)
https://web.archive.[...]
2011-04-04
[24]
문서
Historic Building Map: Savannah Historic District
https://www.thempc.o[...]
Historic Preservation Department of the Chatham County-Savannah Metropolitan Planning Commission
2011-11-17
[25]
문서
Antiques at Savannah
Editorial Publications
[26]
문서
Chatham Square
https://gosouthsavan[...]
GoSouth Savannah
[27]
서적
The Buried Past: An Archaeological History of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2
[28]
웹사이트
Philadelphia Rowhouse Manual: A Practical Guide for Homeowners | Philadelphia City Planning Commission
https://www.phila.go[...]
[29]
웹사이트
The Case for Raising the Roof on Philly Rowhouses
https://www.phillyma[...]
2017-11-19
[30]
웹사이트
EXPLORE THE ATLAS
https://www.zoningat[...]
2024-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